|
지난 10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rb)는 연방기금금리를 5.25~5.50%로 0.25% 포인트 인상했다. 이는 올 들어 네 번째 인상이자 2007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rb)의 금리 인상 움직임은 글로벌 시장의 동요와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미국 경제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중국으로서는 달러 강세와 자본 유출, 무역 마찰 등의 도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절실한 상황이다.
(1) 미국연방준비위원회의 금리인상동기
미국 연방준비위원회가 이자를 올리는 주요 동기는 인플레를 통제하고 경제의 과열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2023년 9월 미국 개인소비지출가격지수 (pce)는 전년 동기 대비 4.4%, 핵심 pce는 전년 동기 대비 4.7% 상승했다. 두 지수 모두 frb의 목표치 2%를 상회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경제도 강한 성장세를 보여, 2023년 3분기 미국의 실질 gdp 가 전년 동기 대비 6.7% 성장해 약 4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frb는 급격한 인플레이션과 경제의 거품을 막기 위해 금리인상을 통한 긴축통화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미 연방준비위원회의 금리 인상이 효과를 내지 못하고 오히려 부작용만 낳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금리 인상 (금리 인상)은 달러 환율의 상승을 야기시켰는데, 수출 지향형 개발도상국으로 말하자면, 이는 수출 수입이 감소하고, 수입 비용이 증가하며, 채무 압력이 커지는 등의 문제를 의미한다.
동시에 글로벌 자본시장의 불안도 야기한다. 신흥시장에 대한 투자자의 위험선호 하강으로 인해 자본이 신흥시장에서 유출되어 미국 등 선진시장으로 역류하게 된다.이에 따라 신흥시장의 주식 · 채권 · 통화 등 자산 가격이 크게 떨어져 금융 안정성이 위협받고 있다.마지막으로,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금리 인상도 미 · 중 간 무역 마찰과 경제 경쟁을 격화시켰다.
달러 가치가 올라 중국 상품은 국제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갖게 되고, 미국 상품은 팔기 어렵게 되어, 중 · 미 간 무역적자가 더욱 확대되었다.동시에 기술, 안보, 지연 등 방면의 이견과 갈등 때문에 양국 간 경제협력도 충격을 받고 장애를 받고 있다.
중국의 대응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도전과 압력에 직면하여 중국은 일련의 책략과 조치를 취하여 대응하였다.
중국 인민은행 (pboc)은 시장 수급과 통화 바스켓의 변동 참고에 따라 달러화에 대한 위안화의 중간값을 매일 고시하고, 중간값에서 위안화가 2% 이상 오르내리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민페환률의 상대적인 안정을 보장하였을뿐만아니라 일정한 탄성과 령활성을 유지하여 인민페의 지나친 평가절상 또는 평가절하를 피면하였다.
중국은 안정적인 통화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경제형세의 변화에 따라 예금 준비금율, 금리, 공개시장조작 등 여러가지 통화정책수단을 신축성있게 운용하여 시장유동성과 신용대출규모를 조절하고 있다.
중국은 맹목적으로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금리인상을 따르지 않고 자체의 경제수요에 따라 적시적이고 적절하게 지준률과 금리인하 등 조치를 실시하여 기업과 주민의 융자원가를 낮추고 실물경제의 발전을 지원하였다.
무역면에서 중국은 대외개방의 기본국책을 견지하였으며 무역구조의 최적화와 다원화를 적극 추진하였다.중국 뿐 아니라 미국과 여러 차례의 무역 협상 무역 마찰을 해결하는 경로와 방안을 찾고 유럽연합 (eu), 일본,과 아세안 등 기타 무역 합작과 교류를 강화하고 구역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rcep) 등 자유무역협정 (fta) 체결과 실시로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과 발언권을 확대하다. |
|